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요약 8판 요약
- dns 뜻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정리
- tracert #네트워크경로추적
- 셸 뜻
- 소켓구별
- 이진탐색트리 c
- CPU
- 터미널 셸 차이
- 컴퓨터 네트워크 요약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8판)
- 맥북 단축키 모음
- 맥 크롬 단축키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 osi7계층 단위
- tcp/ip 4계층 구조
- 맥 딜리트
-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요약정리
- 맥 파인더 단축키
- 클라우드면접
- tcp/ip 4계층 단위
- 라우터 뜻
- 터미널 뜻
-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8판
- 맥 스크린샷 단축키
- 컴퓨터 네트워크 정리
- 캡슐화역캡슐화
- tcp/cp 4계층
- 네트워크 pdf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4)
진강이의 성장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nnJwa/btsJV45l6fe/qW2QgTaqp5Znz8VW5wo9Z0/img.png)
이번 시간에는 직접 네트워크 경로 추적을 하며 데이터를 전송할 때 거치는 라우터들을 확인해보자. 라우터란?라우터는 LAN(근거리 통신망/예를 들어 집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과 WAN(광역통신망/인터넷)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치이다. 즉, 집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때, 라우터는 내부 기기들을 외부의 인터넷과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라우터와 인터넷의 연결 과정은 다음과 같다.LAN 연결 :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스마트폰 등은 모두 라우터에 연결되어 LAN을 구성한다. 이 LAN은 유선(케이블) OR 무선(WIFI)으로 연결될 수 있다.WAN 연결 : 집 안의 LAN과 외부의 인터넷 WAN을 연결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KT 같은 곳) 으로부터 받은 공용 IP주소를 통해 W..
앞선 시간에서 네트워크를 거시적으로 다루고, 분류했다면, 이번 장에선 네트워크를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겠다. 우리가 앞으로 학습할 개념은 크게 세 가지이다. 1. 프로토콜 -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해 합의된 규칙이나 방법2. 네트워크 참조 모델 - 통신이 일어나는 구조를 계층화한 것3. 캡슐화(역캡슐화) - 통신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 먼저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예시로 프로토콜의 개념 먼저 알아보기프로토콜을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컴퓨터 내부 OR 컴퓨터 사이에서 원활한 통신을 위해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이다. 현대 인터넷은 호스트 간 패킷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대부분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한다. 앞서 패킷 교환 방식이 택배를 주고받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내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XkYY/btsJEEFlBPA/25n7RIAJXmoKXC7U53eoxK/img.png)
앞선 포스팅에서 기본적인 네트워크의 의미와 구조를 배우며, 범위에 따라 네트워크를 분류했다(lan, wan). 이번에는 메시지 교환 방식에 따라 네트워크를 분류해보겠다. 호스트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까? (호스트의 의미를 모르겠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자)네트워크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은 대표적으로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각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각각 회선 교환 네트워크, 패킷 교환 네트워크라고 한다. 회선 교환 방식회선 교환 방식은 1. 메시지 전송로인 회선(circuit)을 설정 2. 그 회선은 한 트랜잭션의 정보 전달만을 위한 전용통신로가 됨(독점) 이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이다.즉, 회선(전송로)를 먼저 확보하고 그 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7ee8e/btsJE1fC2Cx/ktC6HG1uv4SQ3dHi2k1UuK/img.png)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개념컴퓨터 네트워크란, 여러 장치가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한다.여러 장치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면 주변의 장치하고만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와 연결된 지구 반대편에 있는 장치와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바로 인터넷이다. 인터넷이란,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이다. 즉,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거시적 관점으로 네트워크 기본 구조 파악하기본격적으로 네트워크를 학습하기 전에 거시적인 관점에서 네트워크의 큰 그림을 그려 보며 필수 배경지식을 알아보겠다. 앞서, 네트워크가 여러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이라고 했다.이 통신망의 모양은 노드(=정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nAbA/btsHNX8zlLw/7fVBTKLRi98i1A5guFnVu1/img.png)
컴퓨터의 핵심 부품 CPU를 하나하나 뜯어보기 전에큰 덩어리부터 생각해본다. 다시금 컴퓨터 메인 보드를 뜯어와 보도록 하자. 오늘 살펴볼 것은 CPU 그중에서도 ALU와 제어장치이다. CPUCPU는 컴퓨터의 두뇌이다.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고, 해석해고, 실행하는 부품이다. (예시 : intel x86)1.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들이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이다. 2. CPU 내부 : ALU(계산 담당) + 제어장치(명령어 읽고 해석함) + 레지스터(작은 임시 저장 장치) 1. ALUALU는 산술연산 장치, 한 마디로 계산하는 부품이다.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피연산자(숫자)와, 수행할 연산자(+-/*)가 필요하다. ALU가 받아들이는 정보 // 피연산자 + 제어신호ALU는 래지스터를..
반복(Iterative search) 으로 구현#include #include // 트리 노드 정의typedef struct treeNode { int key; struct treeNode* leftChild; struct treeNode* rightChild;} treeNode, * treePointer;// modifiedSearch 함수 정의treePointer modifiedSearch(treePointer root, int k) { treePointer p = root; treePointer lastExamined = NULL; // 마지막으로 탐색한 노드를 저장할 변수 while (p != NULL) { lastExamined = p; // 현재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