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hift f6
- 인텔리제이 shift f6 안됨
- 인텔리제이 변수명 한꺼번에
- 시프트 에프6
- 블록체인 배경
- 이진탐색트리 c
- 인텔리제이 리네임
- CPU
- 메모리 기법
- cbdc 하는 이유
- securitize
- 한국은행 CBDC
- 금핵본위제
- 최초적합
- cbdc 도입 이유
- 비트코인 배경
- 맥 shift f6 안됨
- rename 단축키 안됨
- 스왑 영역 확인
- 은행 신용창조
- 한국은행 코인
- 금화본위제
- cbdc 반대 청원
- cbdc 개인정보
- 메모리 할당 방법
- 맥 시프트 에프6 안됨
- 한국은행 블록체인
- 암호화폐 배경
- 화폐시스템의 변천
- 윈도우 shift + f6 안됨
- Today
- Total
목록소프트웨어학 (15)
진강이의 성장일지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은 아래 두 가지다.1. 프로세스 관리2. 메모리 관리 운영체제가 어떻게 메모리를 관리하는지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 양상과 컴퓨터 전체의 성능이 좌우된다. 이번에는 운영체제의 2. 메모리 관리 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속 메모리 할당기본적인 메모리 관리 기법인 스와핑과메모리에 프로세스를 할당하는 방식,연속 메모리 할당의 부작용인 외부 단편화에 대해 학습해보자. 스와핑스와핑은 메모리에서 사용되지 않는 일부 프로세스를보조 기억장치로 내보내고실행할 프로세스를메모리로 들여보내는 메모리 관리 기법이다.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세스 들 중에 현재 실행되지 않는 프로세스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들을 임시로 보조기억장치의 일부 영역인 스왑 영역으로 쫓아내고, 그렇게 해서 생긴 메모..

강의를 듣던 중, 인텔리제이에서 변수명을 한꺼번에 다 바꿀 수 있다는 Shift + F6가 내 맥에서는 동작하지 않았다여러 가지를 시도해본 결과, 해결방법을 찾아 공유해본다! 아래 해결방법을 차례 문제 상황(원래는 아래처럼 변수 클릭해구 Shift F6 누르면 rename 항목이 나와야 하는데 안 나옴) 해결방법인텔리제이 설정에서 Settings 로 들어가(단축키 : 커멘드 + 콤마,) Keymap을 열어준다.**참고로, 윈도우는 files에 settings가 있다 Keymap을 열어보니 나는 keymap 설정이 Visual Studio (mac OS) 로 되어있었다. 일단, 그냥 macOS 로 바꿔준 뒤 OK 를 눌러준다. 위와 같이 설정을 해줬는데도, 맥 OS에서는 Shift + F6가 안 먹을..

IT 공부를 하다 보면 터미널, 콘솔,셀 등등 여러 가지 단어들이 혼재되어 헷갈린다.초심자의 입장에서 이런 단어들을 한 번 잡고 갈 필요가 있어 정리를 해보았다. ⭕ 터미널 vs 셸 vs 커널 vs 운영체제(OS) (+CLI,GUI,콘솔) 우리가 컴퓨터에 명령어를 내리는 과정을 한줄 요약하면 사용자가 터미널(명령어 입력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셸(명령어 해석기)이 이를 해석하여 커널(운영체제 핵심)에 전달하고, 커널이 하드웨어와 소통하여 명령을 실행한다.터미널: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는 창셸: 명령어를 해석하고 커널에 전달하는 프로그램커널: 운영체제의 핵심으로, 실제로 명령을 실행하며 하드웨어를 제어운영체제 : 커널 + 셸 + 여러 시스템 프로그램 각각의 항목을 자세히 알아보자 ⭕ 터미널(T..

☁️백업 시키는 게 클라우드 아님?최근 몇 년 사이에 클라우드, 도커, 쿠버네티스 같은 기술 용어들이 자주 언급되며 우리 생활에 익숙해지고 있다."클라우드"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네이버 박스, 구글 드라이브, 원드라이브 같은 서비스를 떠올리며, 단순히 사진이나 데이터를 백업하는 저장소 정도로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오늘은 클라우드 서비스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이면에 숨겨진 다양한 기술과 가능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다.☁️클라우드 컴퓨팅이란?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간단히 클라우드라고 불린다. 이 서비스는 단순히 스토리지(저장공간)을 넘어 다음과 같은 ..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을 듣다보면, 각 파트들의 내용이 너무 방대해 전체적으로 봤을 때 머리 속에 남는 게 없는 느낌이다...ㅋㅋ 이번 장에서는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숲을 그리며 컴퓨터 네트워크의 개요를 정리하고자 한다. 네트워크의 각 레이어별로 중요한 개념들을 짚어가며, 레이어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해보자! 필자 또한 학부생으로, 부족하거나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비판 완전 환영 **본 포스팅은 OSI 7계층 부터 데이터가 전달되는 방식을 설명할 예정이다.네트워크의 배경지식이 없으신 분들은 네트워크를 미시적, 거시적 관점에서 서술했던 기존의 포스팅을 참고하시길!https://zingangyyy.tistory..

본 포스팅은 아주대학교 최영준 교수님의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와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챕터2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 네트워크가 존재해야 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인,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배운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이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우리들이 자주 쓰는 대부분의 앱들은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이 애플리케이션들은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해서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전송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예로는 웹 브라우저(크롬, 파이어폭스), 이메일 클라이언트(지메일, 아웃룩), 파일 전송 애플리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