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ns 뜻
- 소켓구별
- 맥 딜리트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요약 8판 요약
- 맥 파인더 단축키
- 캡슐화역캡슐화
- osi7계층 단위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8판)
- 이진탐색트리 c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 tracert #네트워크경로추적
- 터미널 셸 차이
- 맥 스크린샷 단축키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정리
-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8판
- 셸 뜻
- 라우터 뜻
- 컴퓨터 네트워크 요약
- tcp/ip 4계층 단위
- tcp/ip 4계층 구조
- 맥북 단축키 모음
-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 컴퓨터 네트워크 정리
- CPU
- 클라우드면접
- 터미널 뜻
- 네트워크 pdf
-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요약정리
- tcp/cp 4계층
- 맥 크롬 단축키
- Today
- Total
목록이진탐색트리 c (2)
진강이의 성장일지
반복(Iterative search) 으로 구현#include #include // 트리 노드 정의typedef struct treeNode { int key; struct treeNode* leftChild; struct treeNode* rightChild;} treeNode, * treePointer;// modifiedSearch 함수 정의treePointer modifiedSearch(treePointer root, int k) { treePointer p = root; treePointer lastExamined = NULL; // 마지막으로 탐색한 노드를 저장할 변수 while (p != NULL) { lastExamined = p; // 현재 노..
이진탐색트리(Binary Search Tree)의 개념이진탐색트리란 이진탐색(binary search)과 연결리스트(linked list)를 결합한 자료구조의 일종이다.데이터의 삽입, 삭제, 탐색 등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쓰인다.**(복습)- 이진트리 - 한 노드의 자식 노드가 최대 2개(왼쪽,오른쪽)인 트리- 포화 이진 트리 : 모든 레벨의 노드가 꽉 차있으며, 단말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의 차수가 2인 이진 트리.- 완전 이진 트리 : 단말 노드들이 트리 왼쪽부터 채워진 형태의 이진 트리.- 높이 균형 트리 : 모든 단말 노드의 깊이 차이가 많아야 1인 이진 트리.- 완전 높이 균형 이진 트리 : 왼쪽 하위 트리와 오른쪽 하위 트리의 높이가 같은 이진 트리.이진탐색트리의 정의이진탐색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