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중앙은행 지급 결제
- pow zkp 차이
- 스왑 영역 확인
- cbdc 반대 청원
- cbdc 하는 이유
- 메모리 할당 방법
- 메모리 기법
- 금화본위제
- 이진탐색트리 c
- cbdc 개인정보
- zkp
- 최초적합
- cbdc 프라이버시
- 지급 결제 차이
- 인텔리제이 리네임
- 지급뜻
- 비트코인 배경
- cbdc 도입 이유
- 블록체인 배경
- 지급결제차이
- 한국은행 CBDC
- 화폐시스템의 변천
- 은행 신용창조
- 작업증명 뜻
- 영지식증명 뜻
- CPU
- 금핵본위제
- 지급 청산 결제 차이
- 암호화폐 배경
- 작업증명 영지식증명 차이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메시지교환방식 (1)
진강이의 성장일지

앞선 포스팅에서 기본적인 네트워크의 의미와 구조를 배우며, 범위에 따라 네트워크를 분류했다(lan, wan). 이번에는 메시지 교환 방식에 따라 네트워크를 분류해보겠다. 호스트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까? (호스트의 의미를 모르겠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자)네트워크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은 대표적으로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각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각각 회선 교환 네트워크, 패킷 교환 네트워크라고 한다. 회선 교환 방식회선 교환 방식은 1. 메시지 전송로인 회선(circuit)을 설정 2. 그 회선은 한 트랜잭션의 정보 전달만을 위한 전용통신로가 됨(독점) 이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이다.즉, 회선(전송로)를 먼저 확보하고 그 전..
소프트웨어학/컴퓨터네트워크
2024. 9. 17.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