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이진탐색트리 c
- 카탈라이즈 리서치펌
- 지급결제차이
- multisig
- 중앙은행 지급 결제
- wallet address
- pow zkp 차이
- 카탈라이즈
- 지급 결제 차이
- CPU
- 블록체인거래추적
- cbdc 반대 청원
- 블록체인aml
- 지급 청산 결제 차이
- HD-wallet
- 지급뜻
- 블록체인 소학회
- 영지식증명 뜻
- cbdc 도입 이유
- 블록체인AML논문
- cbdc 개인정보
- 작업증명 뜻
- cbdc 하는 이유
- 한국은행 CBDC
- 작업증명 영지식증명 차이
- deterministic wallet
- 블록체인 자금세탁
- 연세대 Bay
- cbdc 프라이버시
- zkp
- Today
- Total
목록경제이슈 (12)
진강이의 성장일지
In everyday life, a wallet is “an object that stores money.”A blockchain wallet is fundamentally different. It does not hold or contain coins.Instead, it is a mathematical tool that proves you are the owner of the funds. A Bitcoin or similar cryptocurrency wallet is not a simple storage box.It is a digital authentication system that proves asset ownership using cryptographic keys. Today, let’s l..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지갑은 ‘돈을 보관하는 물건’이다.하지만 블록체인에서의 지갑은 전혀 다르다. 돈을 보관하지도, 담고 있지도 않는다.대신, 내가 그 돈의 주인임을 증명하는 수학적 도구다.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 지갑은 단순한 저장소가 아니라,암호키를 이용해 나의 자산 소유권을 ‘증명’하는 디지털 인증 시스템이다.오늘은 이 블록체인 지갑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구조로 작동하는지 조금 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자. 목차지갑이란 무엇인가 - 잔액 확인의 원리지갑 주소의 생성 원리트랜잭션과 서명 구조 - 지갑의 역할결정성(Deterministic) 지갑의 구조핫 월렛 vs 콜드 월렛다중서명(Multisig) 지갑1) 지갑이란 무엇인가 - 잔액 확인의 원리지갑이라고 하면 보통은 화폐나 신용카드 등이 들어 있는..
목차1) MPOCryptoML 논문 재현을 하게 된 배경2) 자금세탁 탐지 문제의 본질3) MPOCryptoML 논문의 핵심 개념4) 알고리즘 구조(구현 방법) 4-1. Multi-Source Personalized PageRank (PPR) 4-2. Normalized Timestamp Score (NTS) 4-3. Normalized Weight Score (NWS) 4-4. Logistic Regression 기반 패턴 분류 4-5. 최종 이상 점수 계산5) 구현 과정 및 실험 환경6) 주요 결과와 한계7) 확장 실험 : 패턴 직접 탐지 시도1) MPOCryptoML 논문 재현을 하게 된 배경나는 올 2학기부터, 파란학기라는 학생 설계 프로젝트로 '블록체인 자금거래 모니터링 솔루션'을 구축중이다. ..
목차오늘의 강연자 소개 카탈라이즈 리서치가 어떤 팀인지카탈라이즈가 실제로 하는 일Q&A느낀점 1) 오늘의 강연자 소개 - 카탈라이즈 리서치팀 재표 김현재님(BAY 초대 학회장)어제 중간고사가 끝난 뒤 연세대 블록체인 소학회 BAY의 세션에 다녀왔다. 이번 세션은 Bay의 초대 학회장님이자 현재 카탈라이즈 리서치(Catalyze Research)의 대표 김현재님이 직접 강연해주셨다. (지금 내가 학교에서 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블록체인 위의 자금세탁을 AI 로 추적, 탐지'하는 것인데,블록체인 업계의 도메인 지식이 아직 많이 부족한 것 같아, 오늘 세션부터 다시 집중해서 듣고 스터디해보자 다짐한다..ㅎㅎ) 사실 카탈라이즈 리서치 팀은 나에게 낯선 팀이 아니다. 지난 여름방학 2025 XRP 리플 해커톤..
블록체인을 공부하다 보면 ‘작업증명(PoW)’과 ‘영지식증명(ZKP)’을 자주 마주친다. 나는 블록체인을 처음 접했을 때 이 둘이 같은 단계에서 겨루는 기술(?)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둘은 개념적으로 완전히 다르다. PoW는 비용을 태운 행동의 흔적으로 네트워크의 질서를 세우고, ZKP는 비밀을 지킨 채 핵심 사실만 옳다고 증명한다. 겉으로는 모두 ‘증명’이지만, 하나는 합의의 바닥을, 다른 하나는 데이터 노출을 줄이는 상층에서 각자의 역할을 맡는다. 작업증명 (POW) :: '노력의 흔적'으로 설득하는 방식예시1 – 체육대회 달리기초등학교 운동회에서 반 대표로 계주를 뛰었다고 해보자.내가 정말로 1등으로 완주했다는 걸 어떻게 증명할까?심판이 직접 내 달리기 ‘과정’을 다 지켜보고, 결승선을 누가 ..
1. 화폐의 진화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한때 우리는 지갑에 현금을 챙겨 다녔고, 카드를 꺼내 결제하는 것이 일상이었다. 하지만 불과 20여 년 사이, 현금은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으며 우리는 ‘숫자’를 통해 가치를 주고받는 시대를 살고 있다.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같은 간편지급 서비스는 이미 디지털화폐의 전초기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디지털화폐’라는 개념이 더 이상 낯설지 않다.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하루 평균 간편결제 이용 금액은 약 9594억 원, 이용 건수는 3072만 건에 달한다. 반면 같은 기간 현금 사용은 10년 전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이제 ‘화폐’의 본질적 정의조차 재고해야 할 시점이다.2. 디지털화폐 시대의 양대 주자 - 스테이블코인과 CBDC디지털화폐의 기..